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이드메뉴 바로가기
close open

고객센터

  • 070-4403-8377
  • 운영시간
    AM 09:00 ~ PM 18:00
  • 토,일,공휴일 휴무

입금계좌정보

  • 농협 243030-56-005851
  • 예금주 : 한재남

최근본상품 (0)

QUICK MENU

최근본상품 0

    prev
    /
    next

    추천상품 0

      prev
      /
      next

      장바구니 0

        prev
        /
        next

        위시리스트 0

          prev
          /
          next

          TOP BOTTOM
          강화약쑥은?

          강화약쑥은? 강화약쑥은 청정지역인 강화군에서 해풍과 해무를 맞고 자라 그 약효가 매우 뛰어나며, 국내 최고랍니다.
          국화과 여러해살이 풀로 성질이 맵고 쓰며 따뜻합니다.
          강화약쑥은 짙은 엽록소, 치네올, 유파폴린 등의 영양성분과 독특한 향을 지니고 있답니다.
          또한 비타민A와 비타민C가 많아 환절기 식품으로도 손꼽힙니다.
          이 밖에도 강화약쑥은 식물성 섬유와 칼슘, 철분 등 양질의 미네랄이 많이 들어 있는 훌륭한 알칼리성 식품으로써 우리 몸에 좋은 역활을 할 수 있습니다.

          쑥의 종류와 특성

          쑥은 밭둑, 하천둑에서부터 해발 2,000m 의 고원지대에도 잘 자라는 흔한 식물로 국내에 30여종이 있다. 약쑥은 애엽(艾葉), 애호(艾蒿), 황초(黃草), 구초(灸草)라고도 하며 한방에서는 중요한 약초로 사용되고 최근에는 쑥차나 쑥환 등 다양한 건강식품으로 개발되어 이용범위가 확대될 전망이다. 약쑥은 일반쑥(나물쑥)과는 달리 줄기와 잎 뒷면에 거미줄 같은 흰털이 빽빽이 덮여 있고 줄기의 윗부분이 약간 누른빛을 띤다.

          강화약쑥의 유래

          강화에는 예로부터 마니산과 해안가를 중심으로 좋은 약쑥이 자생했었는데 조선시대의 각종 서적에도 강화지역에 약쑥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 동국여지승람 : 강화의 토산품에 “사자족애” (獅子足艾)로 기록
          * 방약합편(方藥合編) : 습초(濕草)중 약쑥(艾葉)을 “사자발쑥”으로 기재 강화는 오염되지 않은 지역일 뿐만 아니라 해양성 기후에 물빠짐이 좋은 토성 등 좋은 여건을 갖추고 있어 품질좋은 약쑥이 생산된다. 자생약쑥에는 사자발쑥과 싸자리(싸주아리)쑥이 유명하다.

          강화약쑥의 형태
          사자발쑥 싸주아리
          강화 자생약쑥 중 가장 품질이 우수한 약쑥으로 키가 70cm 내외로 자라며 줄기가 다소 굵고 곧게 자람. 잎 모양은 사자발바닥 모양으로 단순하게 갈라져 있고 잎 끝이 뾰족하면서 약간 위로 오므러진 형태 강화에서 옛부터 자생되고 있는 약쑥으로 향이 높고 잎 뒷면이 희고 잎형태가 새의 날개 모형이면서 평편하고 줄기가 부드럽고 흰색을 띠고 있음
          강화사자발쑥 강화싸주아리쑥


          강화약쑥이 좋은 이유

          강화약쑥은? 1. 깨끗한 토양
          육지와는 다르게 오염이 안되고 약쑥재배에 좋은 화강암계의 토성을 갖추고 있어 깨끗하게 자란다.

          2. 해양성 기후
          주위가 바다로 둘러싸여 있어 염기가 섞인 바람과 바다에서 피어 오르는 안개를 머금고 자라 각종 한의학 서적에 강화약쑥을 가장 효능이 좋은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

          3. 좋은 품종
          강화도의 자생약쑥중 효능 높은 약쑥만을 별도로 채취하여 잡초나 잡쑥이 전혀 섞이지 않도록 정성들여 가꾸기 때문에 한번 이용한 사람은 다시 찾게된다.

          4. 최고의 품질
          약쑥을 5월(단오절)에 베어 바닷바람이 통하는 그늘에서 3년이상 숙성시키기 때문에 박하향의 그윽한 향기는 다른지역 약쑥과 차별화 된다.

          강화약쑥 활용법

          생즙 이용법

          1. 쑥잎을 5~10장 정도를 물에 씻어 믹서기에 간다. (잘 갈아지지 않을 때는 물을 첨가)
          2. 생즙은 1일에 2번정도 (1회 20ml) 마시되 맛이 쓰거나 풋내가 나서 먹기 어려운 사람은 생강즙이나 사과즙 또는 벌꿀을 넣어도 좋다.
          3. 생즙의 섭취는 대량으로 장기간 섭취는 중독현상은 일어나지 않지만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고 잎을 열탕에 살짝 데쳐서 복용하는 것이 더 좋다.

          쑥차 이용법

          건쑥 이용시
          1. 말린 쑥을 10g (어른손으로 1주먹)정도를 내열유리나 보통 알루미늄 주전자에 물 600~800ml 정도를 붓고 얇게 썬 생강을 2~3조각 첨가(철로된 제품은 쑥의 성분인 탄닌과 반응하여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피한다.)
          2. 끓일 때는 20분 정도 가열하되 물이 끓기 시작하면 물이 넘치지 않도록 약한 불로 달인다. (물이 반정도로 줄어질 정도로 끓임)
          3. 하루에 먹는 양은 300ml 정도로 3회로 (100ml 씩) 나누어 마신다.



          생쑥 이용시
          1. 자생쑥잎을 딴 후 소금을 조금 넣고 온수로 살짝 데친 후 그늘에 말린다.
          2. 말린 쑥 20g을 물 300ml 에 넣고 그 물이 200ml 정도 될 때까지 약한 불로 달여서 이용하면 된다.





          목욕용으로 이용

          건조쑥 30~50g을 가제수건에 싸서 온수에 담갔다가 넣으면 좋다.
          쑥은 소금이나 중조를 소량 넣은 온수에 데쳐 탄닌을 제거한 후 그늘에 말린 것을 사용하면 좋다.
          쑥을 자루에 넣어서 사용할 경우는 생쑥은 500g~1kg 정도로 건조쑥은 100~200g 정도로 하여 물 온도를 40℃ 정도에 30분쯤 미리 담근 후 욕탕에 들어간다. (목욕이 끝난 후 말려 다시한번 사용하여도 상관없다.)
          ※ 쑥을 목욕통에 넣으면 물 색깔이 녹색으로 변하지만 목욕통에 스며들지 않고 금방 지워진다.
          ※ 목욕을 한 후에 쑥의 찌거기는 정원수의 거름으로 사용하여도 화학비료 보다 효과가 좋다.

          베개나 방석 및 이불에 이용

          말린 쑥잎을 베개나 방석에 채워 사용하되 사용시 납작해지면 그때마다 쑥을 채워 넣으면 된다. (넣은 쑥은 1년에 한번씩 교환하면 된다.)

          각종 가공품으로 이용

          뜸쑥 (다양한 종류가 있음), 쑥환, 쑥농축액(엑기스), 쑥드링크, 쑥분말, 쑥좌훈
          ※ 뜸쑥 : 말린 쑥잎을 가루로 만들어 체로 쳐서 푸른 찌꺼기는 버리고 부드럽게 된 섬유만을 이용

          쑥주(술) 이용법

          잎을 이용할 때
          1. 1.8리터의 병 (주둥이가 커야함)을 준비하고, 가제자루에 믹서기로 갈은 말린 쑥을 채워 가제자루째병에 쑥을 넣어 25 ° 의 술을 부어 2개월정도 놓아두면 쑥주가 된다.
          2. 이때의 쑥의 량은 병의 1/3~1/4정도가 적당하다.

          뿌리를 이용할 때
          1. 쑥이 꽃이 피기 전에 약쑥을 뽑아 잎과 줄기는 식용이나 쑥탕 등에 쓰고 뿌리를 잘 씻어 그늘에 2~3일 정도 말렸다가 뿌리 300g에 술 1되(1.8리터)에 담그되 이때 술은 청주가 좋고 술병은 쑥뿌리가 시간이 지나면 위로 올라오므로 병의 주둥이가 좁으면 집어내기가 곤란하므로 넓은 병을 사용한다.
          2. 술의 보관은 냉암소에 하고 6개월정도 지나면 술의 빛깔이 보이고 쑥의 향기를 느낄 수 있는데 이때가 되면 뿌리를 건져내고 하루에 세끼의 식사때마다 마시면 된다.

          이용가능한 식품

          식품 : 떡종류 (쑥단자, 인절미, 쑥경단), 냉면,식혜, 만두, 칼국수, 청국장, 된장, 고추장, 캔디, 쑥빵, 쑥과자
          기타 : 쑥비누, 쑥화장품, 쑥음료, 쑥콩나물, 쑥엿

          회원님의 소중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비밀번호를 주기적으로 변경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현재 비밀번호
          신규 비밀번호
          신규 비밀번호 확인
          6~20자, 영문 대소문자 또는 숫자 특수문자 중 2가지 이상 조합